본문 바로가기
쉬운 경제

2024년 주휴수당 알바 계산법

by 또치._. 2024. 1. 18.

주휴수당 계산법

 

2024년이 도래하면서 최저시급과 최저연봉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가 상승에 따라 당연히 수당도 상승해야 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상황에 따라 기대 이하의 상승이 이루어지고 있어 아쉬워하는 이들과, 생각보다 높게 상승하여 걱정하는 이들 사이에서 입장이 상반된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이러한 다양한 입장을 고려하여 정책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4년 주휴수당에 대한 알바 계산법과 지급 조건 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024년 주휴수당은 노동시장에서 공정한 대우를 위해 근로자의 근로 및 생활 균형을 유지하고 건강한 노동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규정되고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 55조에 따르면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근로일에 개근하며, 다음 주에 다시 출근할 경우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주말에 근무하지 않더라도 주휴일에 해당하는 하루치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휴수당을 받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주 15시간 이상 근무
2.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근로일에 개근
3.다음 주에 다시 출근 예정
 
주휴수당 계산법은 1일 소정근로시간에 시급을 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일주일 기준으로 40시간을 초과해도 최대 40시간까지만 인정되므로 주휴수당은 40시간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최저시급이 9,860원이라고 가정하고, 하루 근무시간이 8시간, 주 근무일수가 5일로 설정하면, 네이버 임금계산기를 활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계산된 주휴수당은 알바 생활의 수당을 간단하게 확인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최저시급 변동이나 근무일정의 변경에 따라 실제 수당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항상 주의가 필요합니다.
 

요즘세상에 주휴수당을 안주는 곳이 있을까 하지만
있습니다. 최근에 뉴스에는 주휴수당 대신 시급을 올려서 받기로 한 알바생이
퇴사 후 노동부에게 주휴수당 미지급으로 신고를 당한 일이 있었습니다
고용주는 구두로만 계약을 해서 아주 불리한 경우가 됬고
이번경우는 알바생에게 화살이 가고 있죠
이번 포스팅은 노동자 뿐 아니라 고용주에게도 필요한 포스팅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좋은 고용주 사용자도 많겠지만 혹시나 계산이 어렵거나 틀리거나해서
계산법과 자신이 주휴수당 수급 조건이 되는지 잘 알아보시기 바랍니다.